재료과학과 공학/13장 금속 합금3 [재료과학과 공학] 13장 금속 합금 (3) 비철합금: 구리와 구리합금, 알루미늄과 그 합금 13장의 (1),(2)에서는 철 합금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번 챕터부터는 철 합금이 아닌 타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합금들을 한번 다루어보겠습니다. 철합금은 그만의 광범위한 기계적 성질과 생산의 용이성 그리고 가격적인 접근성으로 인해 선호받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철합금에도 단점들이 있습니다. 우선 상대적으로 철의 밀도가 높기에 철합금 또한 높은 밀도를 갖게 되고, 비교적 낮은 전기전도도를 지닙니다. 그리고 낮은 내부식성을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특성들을 우수한 정도로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철합금이 아닌 다른 합금을 사용하는게 적합합니다. 이때 비철합금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주조합금: 합금이 취성이 높아 성형과 가공을 위한 적절한 소성변형이 불가능한 경우의 합금 단조합금: 적절한 소성변형이 가능.. 2022. 7. 26. [재료과학과 공학] 13장 금속 합금 (2) 주철 주철 주철은 크게 회주철, 연성 주철, 백주철과 가단 주철 그리고 조밀 흑연주철로 구분됩니다. 우리는 이렇게 많은 종류의 주철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주철이란 탄소함량이 2.14wt%이상인 철합금에 속합니다. 그러나 보통 우리가 말하는 주철은 3.0~4.5wt%의 탄소 함량을 가집니다. 대부분 주철 안의 탄소는 흑연 상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회주철 회주철은 말그대로 gray cast iron이다. 회색표면은 흑연으로 인해 나타나게 됩니다. 흑연이 박편형태로 존재하는 미세구조 때문에 회주철은 인장력에 약하고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갖게 됩니다. 회주철은 진동에너지 흡수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진동에 노출되기 쉬운 기계의 지지 구조와 무거운 장비의 재료로 사용되게 됩니다. 연성주철(=구상 주철).. 2022. 7. 21. [재료과학과 공학] 13장 금속합금 (1) 탄소강: 저탄소강, 중탄소강, 고탄소강 그리고 스테인리스강 13장은 금속합금에 대한 내용으로 다양한 종류들의 합금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개념적인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하나씩 살펴봅시다. 저탄소강 -0.5wt% 미만의 탄소농도. 미세구조는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구조를 가지므로 비교적 연하다. 그렇지만 우수한 연성과 인성을 갖는다. 또한 가공성과 용접성이 좋고,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자동차의 몸체 부위, 구조용재, 파이프, 빌딩, 다리 등 많은 곳에 사용된다. 그렇지만 큰 강도는 갖지 않기에 큰 강도를 요구하지않는 부품으로 사용됩니다. 중탄소강 -0.25~0.60wt%의 탄소농도. 오스테나이트화, 급랭, 템퍼링 등의 열처리에 의해 기계적 성질을 향상되게 됩니다. 적당한 강도와 적당한 연성을 가진재료로 생각하면 됩니다. 고강도와 내모마성 및 인성이 요구되는 분야.. 2022. 7.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