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과학과 공학/8장 금속의 기계적 성질2 [재료과학과 공학] 8장 금속의 기계적 성질 (2) 앞선 내용을 보고오시면 연결됩니다. [재료과학과 공학] 8장 금속의 기계적 성질 (1) 8장은 금석의 기계적 성질에 대해 배우는데, 응력, 변형률, 탄성변형, 푸아송비, 소성변형 등 단순히 들었을 때는 바로 와닿지 않는 개념들이 대거 포진해 있기 때문에, 이 단원에서는 개념을 더 memory-in-photo.tistory.com 소성변형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은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구간이후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지 않고, 회복되지 않는 변형을 말한다. 직선으로 나타나던 응력과 변형률은 곡선으로 변화한다. 가까이 있던 원자와의 결합을 끊고 새로운 원자와 결합하는 현상으로 영구변형되는 것이다. 그래서 재료를 개발하고 이용해야하는 입장에서는 어디로니 튈지 모르고 변형되는 소성변형이 일어.. 2022. 7. 10. [재료과학과 공학] 8장 금속의 기계적 성질 (1) 8장은 금석의 기계적 성질에 대해 배우는데, 응력, 변형률, 탄성변형, 푸아송비, 소성변형 등 단순히 들었을 때는 바로 와닿지 않는 개념들이 대거 포진해 있기 때문에, 이 단원에서는 개념을 더더욱 잘 잡고 가는게 중요할 것같아요. 응력 및 변형률의 개념 일단 응력과 변형률을 보기 위해 우리는 인장 시험을 하게 된다. 인장 시험 응력-변형률 시험은 인장(Tension)의 하중하에 진행되게 된다. 단순히 생각하면, 정해놓은 축을 기준으로 늘려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를 관찰 하여 시편의 변형과, 더 나아가 시편이 끊어지는 것까지 시험의 과정이다. 이런 이미지를 떠올리면 된다. 로우를 공칭응력이라 부르고, 하중과 신장량을 이와같은 수치로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P는 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순간적인 .. 2022. 7.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