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윈도우 10에서 스크린 샷 찍는법 스크린캡처 단축키 스크린샷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윈도우 10에서 스크린 샷을 찍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문서 작업을 하면서 화면을 캡쳐해 활용해야 할 때가 많죠. 특히 프로그램 설명이나 웹서핑 중 얻은 중요한 정보를 공유할 때 스크린 샷이 유용하답니다.윈도우 10에는 '캡처 및 스케치'라는 기본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여러 단축키를 활용하면 더 빠르고 편리하게 스크린 샷을 찍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7가지 주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1. Print Screen (Prt Sc) 키 누르기윈도우 10에서 가장 기본적인 스크린 샷 방법은 Prt Sc 키를 누르는 겁니다. 이 키를 누르면 현재 화면 전체가 클립보드에 저장돼요. 그 후, 그림판이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열고 붙여넣기(Ctrl + V)하면 됩니다.. 2024. 6. 23.
어떻게 생각해야 하지?, 생각하는 습관 어떻게 생각해야할까? 우리는 ''생각 좀 하고 살아!'', "요즘 따라 생각 없는거 같애" 같이 생각에 대해 모호하지만 중요하다는 감각을 가지고 삽니다. 저 또한 생각을 하고 살아야지. 그런데 어떻게 해야하는 거지? 그리고 왜? 라는 의문을 항상 가지곤 합니다. 그 이야기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게요. 이런 글을 쓰는 데도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나 글들 책들을 참고하지 않으면 힘드네요. 사실 하늘에서 생각이 그냥 떠오르는 건 아니죠. 어떤 나의 경험들(책 읽은 것, 내가 살면서 겪은 것 등등)이 모이고 모여 내 생각이라는 게 되는 것이고 그게 곧 가치관이나 사람의 성향을 보여주게 되죠. 우리는 생각하는 감각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말이 관성이라는 말인데 말 그대로 계속 무엇인가.. 2022. 8. 8.
사랑과 행복을 받아들이는 방식 사랑과 행복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인생에 있어 이런요소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건강한 방식의 사랑이자 행복일까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사랑과 행복을 장소로 생각합니까? 그렇다면 우리가 도착하는 목적지는 어디인가요? 우리는 종종 이 두 가지를 목표로 개념화합니다. 그들이 잠시 동안 우리 삶에 있었다가 떠날 때 우리가 그렇게 황폐해진 이유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까? 사랑과 행복이 시간과 무슨 상관관계를 가질까요? 이렇게 생각해봅시다. 우리는 세상을 사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질의. 어떤 것. 또는 이벤트로 구성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과정 속에서 어떤 일이 발생합니다. 지속되지 않고 지속적인 변형을 거치며 시간에 따라 영구적이지 않은 것입니다. 기본 물리학에서 시간 개념의 파괴는 두 .. 2022. 8. 7.
[재료과학과 공학] 11장 상태도 (2)미세조직 /납-주석 합금/공정, 공석, 포정, 포석 공정 합금의 미세조직 앞서 배운 2원 상태도에서 더 깊게 들어가서 조성이 고정되어 있을 때 온도변화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를 살펴봅시다.! (1) 아래의 그림처럼 조성이 C1으로 고정되어 있을 때 점a,b,c에 각각 나타나는 현상을 살펴봅시다.ㅎㅎ 먼저 a는 조성이 C1인 액상으로 존재합니다. b부터는 α+L 상에 들어서게 되므로 고상 α가 조금씩 생기기 시작합니다. 이후 온도가 더 낮아져 c가 되면 α상 밖에 남지 않으므로 조성이 C1인 α상만 존재하게 됩니다. α+L 상의 형성과정은 구리-니켈 합금의 과정과 같습니다. (2) 다음은 조성이 C2인 경우입니다. d는 (1)의 상황과 같죠. 액상 영역에 있으므로 조성이 C2인 액상만 존재합니다. 그리고 점e, f도 (1)에서 보았던 상황과 같이 흘러갑니다... 2022. 7. 30.
[재료과학과 공학] 11장 상태도 (1)1원 상태도와 2원 상태도의 이해 11장이 참조해야할 그림도 많고 내용도 만만치 않아서 13장먼저 정리하고 돌아왔습니다.ㅎㅎㅎ 11장부터 12장 그 이후까지 연결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착실하게 정리해봅시다.! 개념들 1.성분(component) : 성분이란 합금을 구성하는 순금속이나 화합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황동의 성분은 구리(Cu)와 아연(Zn). 2.용해한도(Solubility limit) : 고용체 형성에 있어 용매에 용해되는 용질 원자의 최대 농도는 온도에 따라 정해져있는데, 이를 가르켜 용해한도라고 합니다. 용해 한도 이상으로 용질을 첨가하게 되면 별개의 고용체나 화합물이 생성됩니다. 설탕물을 떠올려봅시다. 상온의 물에 설탕을 넣어 섞게되면 설탕이 잘 녹게되겠죠. ㅎㅎ그러나 넣은 설탕의 양이 용해 한도 이상으로 되면 설탕.. 2022. 7. 29.
[재료과학과 공학] 11장 상태도 (0)탄소강(페라이트, 펄라이트,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탄소강의 조직 11장, 12장, 13장에 걸쳐 나오는 개념들이기 때문에 한번에 정리하고 시작하겠습니다. 11장에서는 철-철탄화물의 상태도에서 언급되는 내용이고 12장은 계속 나오는 내용 그리고 13장에서는 철합금에서 탄소강을 설명할 때 기본으로 알고 있어야하는 내용입니다. 1. 페라이트 α-Fe에 미량의 탄소(C)가 함유된 고용체로 순철에 가까운 조직이다. 연하고 연성이 크다. 상온에서의 안정된 형태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알파)철이란 철이 체심입방격자(BCC)의 원자배열을 한 상태를 의미, 순철의 조직) 2. 펄라이트 공석강의 조직은 펄라이트이다.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층상으로 되어 조개 무늬처럼 보이므로 펄라이트라고 한다.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공석정이란 열처리하기 위하여 가열되어 있는 상.. 2022. 7. 28.
실패를 해야하는 이유 ft. 완벽할 수만은 없다. 우리는 실패와 좌절을 경험할 때 귀중한 교훈을 얻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 대부분은 실패를 찾는 대신 실패가 우리에게 일어나기를 기다립니다. 아니면 실패를 하지 않기 위해 시도를 하지 않기도 합니다.🐱 그러나 의도적으로 실수를 하면 미래에 더 쉽게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실수로부터 배웁니다. 우리가 실수하고 실패할 때, 우리는 일을 처리하지 않는 방법을 배웁니다. 우리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배웁니다. 실패는 성공을 위한 노력의 부산물입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말이죠. 우리는 연구를 하고,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재료를 구하고, 모든 것을 조합하려고 노력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한 일이긴 합니다. 우리가 현명.. 2022. 7. 27.
[재료과학과 공학] 13장 금속 합금 (3) 비철합금: 구리와 구리합금, 알루미늄과 그 합금 13장의 (1),(2)에서는 철 합금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번 챕터부터는 철 합금이 아닌 타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합금들을 한번 다루어보겠습니다. 철합금은 그만의 광범위한 기계적 성질과 생산의 용이성 그리고 가격적인 접근성으로 인해 선호받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철합금에도 단점들이 있습니다. 우선 상대적으로 철의 밀도가 높기에 철합금 또한 높은 밀도를 갖게 되고, 비교적 낮은 전기전도도를 지닙니다. 그리고 낮은 내부식성을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특성들을 우수한 정도로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철합금이 아닌 다른 합금을 사용하는게 적합합니다. 이때 비철합금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주조합금: 합금이 취성이 높아 성형과 가공을 위한 적절한 소성변형이 불가능한 경우의 합금 단조합금: 적절한 소성변형이 가능.. 2022. 7. 26.
반응형